IT

파이썬3 큐 사용법 및 deque 소스코드 원형 c파일

프로개발러 2023. 7. 20. 10:02
반응형

 

 

큐의 자료구조는 위와 같다.

 

큐는 보통 선입선출의 구조를 가지고 있고

맨처음 들어온 놈이 맨처음 나가는 자료구조이다.

 

보통 스택과 비교됨.

 

from collections import deque

q1 = deque()

print(q1)

이런식으로 사용가능.

 

q1 변수를 찍어보면 deque가 찍히는 것을 볼 수 있음.

 

 

 

q1타입을 찍어도 collections.deque라고 나옴.

 

from collections import deque

q1 = deque()

q1.append(1)
q1.append(2)
q1.append(3)
q1.append(4)

print(q1)

print(q)에서 디버깅 걸면

 

이런식으로 찍힘.

 

 

1  2  3  4

 

일 경우

q1.append(5)

를 해주면 

 

1 2 3 4 5가 되고

q1.appendleft(7)

를 해주면

 

7이 왼쪽에 추가됨.

 

참 편리한 자료구조.

 

참고로 deque의 내장 클래스 함수를 보고 싶다면

 

from collections import deque
dir(__builtins__)

사용하면 됨.

 

 

참고로 collections deque 소스 원형을 보고 싶다면

 

c언어 코드파일을 찾아서 따로봐야함

 

링크 : https://github.com/python/cpython/blob/3.7/Modules/_collectionsmodule.c

 

성능이 좋은 이유가 있었음.

파이썬에서 아무리 코드 잘 구현해도 c언어로 사용한 것은 못 따라감...

반응형

'I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스프링시큐리티 6장 분석  (0) 2023.07.21
백준 2178 파이썬  (0) 2023.07.20
파이썬 백준 1874번  (0) 2023.07.13
querydsl 사용이유  (0) 2023.07.13
postman 포스트맨 입력 안될 때  (0) 2023.07.12